저번 GA4 포스팅에서 GA4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데모 계정을 공유한 적이 있었습니다.
못 보신 분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https://marifa-review.tistory.com/2
방문자 분석을 위한 GA 시작하기ㅣGA4 자격증(GAIQ) 취득 방법 ㅣ GA4 데모계정 공유ㅣ
블로그 방문자 분석하고 싶은 운영자, 웹사이트 트래픽 분석하고 싶은 마케터에게 GA4는 필수입니다. 방문자들이 어떤 페이지를 방문했는지,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어떤 경로로 사이트를 탐
marifa-review.tistory.com
그런데 데모 계정으로 GA4에 처음 접속하신 분이라면 처음 보는 용어가 많아서 많이 당황하셨을 겁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GA4를 활용하기 위해선 첫 번째로 용어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도구든 도구를 쓰는 기본 방법을 알아야 쓸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오늘 포스팅은 용어 즉, GA4의 핵심인 측정항목과 측정기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측정항목과 측정기준이란?
+) 블로그 혹은 자사 웹사이트를 분석하고자 하는 분은 구글 데모계정 중 google merchandise store(웹데이터)로 들어가서 샘플 보고서와 이번 포스팅을 같이 보시면 좋겠네요.
저는 먼저 획득> User acquisition 보고서로 들어왔습니다. 잠깐 보고서 얘기하자면 구글은 따로 커스텀한 보고서를 만들지 않아도 다양한 기본 보고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이후에 보고서를 설명하는 포스팅도 작성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제가 빨간색 박스처리한 부분을 측정기준= Dimensions =차원이라고 합니다. 파란색 박스는 측정항목= Metrics = 지표라고 하죠. 누군가 디멘션과 메트릭이라고 말하면 (개발자일 가능성 매우 높음)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측정 기준(Dimensions)
구글은 측정 기준을 '데이터의 속성'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뭉치를 어떤 것을 기준으로 쪼개서 보고 싶은지, 에서 기준을 정한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만약 "내 블로그/사이트로 유입되는 사람들이 어떤 경로로 들어오는지 궁금하다"라고 하면 '어떤 경로'가 측정기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구글은 '어떤 경로'를 '소스(source)'로 부르고 있습니다. 소스엔 naver, google, daum 등이 있겠죠.
또 어떤 방법으로 유입됐는지 궁금할 경우 '어떤 방법'이 측정 기준이 될 것이고, 구글은 그걸 '매체(medium)'라고 부릅니다. 자연검색이면 organic, 광고라면 cpc나 display로 데이터가 들어오겠죠.
아래는 GA4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주요 측정 기준을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GA4 주요 측정 기준 | |
소스 source |
트래픽이 유입된 검색 엔진 혹은 도메인 (google, naver, daum..) |
매체 medium |
웹사이트로 유입되는 방법( none, referral, oragnic, cpc...) |
캠페인 campaign |
마케팅 캠페인 이름 |
기본 채널 그룹 default channel group |
기본적인 소스/매체를 그룹화 |
기본 채널 그룹의 소스/매체 분류 | |
자연검색 organic search |
키워드 검색을 통한 웹사이트 유입 |
추천 referral |
특정 웹사이트에서 내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클릭해서 유입 |
직접 direct |
주소창에 주소url을 직접 입력하거나 즐겨찾기로 유입 |
유료 paid search |
구글 검색 광고로 유입 (주의 : 국내 검색광고의 경우-naver-는 organic로 분류함) |
디스플레이 display |
디스플레이 광고로 유입 |
소셜 social |
소셜네트워크(유튜브,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을 통한 유입 |
제휴 affiliates |
제휴사의 사이트 링크를 통한 유입 |
이메일 |
이메일을 통한 유입 |
측정항목(Metrics)
"오늘 유입된 사람수" "A 게시글의 평균 체류시간" 같은 수치가 블로그운영자, 마케터에게 정말 중요하죠.
여기서 '사람수', '평균체류시간' 처럼 수치를 측정하는 요소를 측정항목이라고 합니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기본 측정 항목을 표로 정리하니 확인해 주세요.
GA4 주요 측정 항목 | |
총 사용자 total user |
내 사이트를 방문한 총 사용자 수 (중복은 제외) |
새 사용자 new user |
이전에 사이트에 유입된 적 없는 신규 사용자수 (= first_open 혹은 first_visit 이벤트가 발생된 수) |
세션 sessions |
사이트에서 세션이 시작된 수 (= session_start 이벤트가 발생된 수) |
참여 세션수 engaged sessions |
1. 사이트에 10초 넘게 있거나 2.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3. 페이지/화면 조회가 2번 이상 발생한 세션 수 |
참여율 engagement rate |
참여 세션의 비율. = 참여세션수 / 세션수 |
이탈률 bounce rate |
참여하지 않은 세션의 비율 = 참여하지 않은 세션수 / 세션수 |
사용자당 참여 세션수 engaged sessions per user |
= 참여 세션 수 / 사용자 수 |
평균 참여시간 average engagement time |
사용자가 내 웹사이트에 참여한 평균 시간. = 화면에 웹사이트가 표시된 상태의 평균 시간 |
이벤트 event counts |
사용자가 이벤트를 발생시킨 수 |
세션당 이벤트 events per session |
= 이벤트 수 / 세션 수 |
전환 conversions |
사용자가 '전환'이벤트를 발생시킨 수 |
총수익 total revenue |
구매, 인앱 구매, 구독, 광고 수익에서 발생한 총 수익 |
잘 와닿지 않는 측정 항목명에 혼란이 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ga4를 활용하기 위해선 필수로 이해하고 넘어가야합니다.
특히 '이벤트', '사용자', '세션'을 충분히 알게 되면 GA4가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하는지 또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3개의 항목에 대해선 다음 포스팅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GA4-구글 애널리틱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문자 분석을 위한 GA4 알기 - 4. UTM 명칭 설명ㅣUTM Builder로 UTM 생성하는 방법 (다른 회사의 UTM 빠르게 확인하는 꿀팁) (0) | 2023.07.03 |
---|---|
방문자 분석을 위한 GA4 알기 - 3. GA4 계정 생성하는 방법(2023년 최신 버전) (0) | 2023.07.02 |
방문자 분석을 위한 GA4 알기 - 2. 데이터 수집 구조(이벤트,세션,사용자) 이해하기 (0) | 2023.07.01 |
무료 탬플릿 사이트 이용해서 티스토리 제목 쉽게 꾸미는 방법 + 글 쓸 때 제목 서식 바로 적용하는 방법 (0) | 2023.06.29 |
방문자 분석을 위한 GA 시작하기ㅣGA4 자격증(GAIQ) 취득 방법 ㅣ GA4 데모계정 공유ㅣ (0) | 2023.06.28 |